맨위로가기

NLS (컴퓨터 시스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NLS는 더글러스 엥겔바트가 개발한 컴퓨터 시스템으로, 1968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폴 조인트 컴퓨터 컨퍼런스에서 공개 시연되어 "모든 데모의 어머니"로 불렸다. 이 시스템은 컴퓨터 마우스, 하이퍼미디어, 화면 공유 화상 회의 등 다양한 혁신적인 기술을 세계 최초로 선보였으며, 지식 작업자의 역량 강화를 목표로 했다. NLS는 학습 곡선이 어렵고 시분할 기술의 한계로 인해 쇠퇴했지만, 이후 다양한 시스템에 영향을 미쳤고, 비지칼크 개발에도 영감을 주었다.

2. 개발

더글러스 엥겔바트는 1959년부터 1960년까지 미국 공군의 지원을 받아 NLS 개발을 시작했고, 1962년에 그 프레임워크를 발표했다.[34] 초기 NLS는 한 번에 한 명의 사용자만 지원할 수 있었으며, 1963년에 사용된 CDC 160A는 성능이 매우 약했다.[34]

이에 대한 임시방편으로, 팀은 오프라인 사용자들이 플렉소라이터를 사용하여 천공 테이프에 명령어를 입력하여 문서를 편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35] 테이프가 완성되면, 오프라인 사용자는 컴퓨터에 종이 테이프를 넣어 마지막 문서 초안을 저장하고 새 명령어를 적용했다. 그러면 컴퓨터는 최신 버전의 문서를 포함하는 새 종이 테이프를 출력했다.[35] 이러한 방식은 상호작용 시각화 없이는 불편했지만, 1960년대 사무실의 작업 흐름과 맞아떨어졌다.[36]

이 설계는 오프라인 워크플로뿐만 아니라 상호작용 온라인 기능도 동일한 문서 편집 기능에 지원했다. 오프라인 텍스트 시스템은 FLTS로, 온라인 텍스트 시스템은 NLTS로 줄여 사용했다. 시스템이 발전하면서 "T"가 제거되어 상호작용 버전은 NLS로 불리게 되었다.[37]

로버트 테일러는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의 지원을 받았으며, 이후 국방고등연구계획국(DARPA)의 정보 처리 기술 사무소로 옮기면서 프로젝트에 추가 자금을 지원했다. NLS 개발은 1965년에 CDC 3100으로,[1] 1968년에는 SDS 940으로 이전되었다.[1] 제프 룰리프슨은 1966년부터 1973년까지 NLS의 수석 프로그래머로 일했다.[5]

1968년, NLS는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폴 조인트 컴퓨터 컨퍼런스에서 공개 시연되었으며, "모든 데모의 어머니"라고 불렸다.[6] 엥겔바트는 무대에서 마우스, 코드 키셋 등의 입력 장치를 사용하여 NLS의 기능을 시연했고, 이는 멘로 파크에 있는 ARC의 SDS 940 컴퓨터와 연결되어 있었다.

NLS의 혁신적인 기능 중 하나인 "저널"은 1970년에 개발되었으며,[25] 원시적인 하이퍼텍스트 기반 그룹웨어 프로그램이었다. 저널은 네트워크 정보 센터와 초기 네트워크 이메일 아카이브의 문서를 저장하는 데 사용되었다.[9]

NLS는 Tree Meta 컴파일러 컴파일러 시스템과 L10이라는 언어를 사용하여 구현되었다.[10] 1970년, NLS는 PDP-10 컴퓨터로 이식되었으며,[11] 1971년부터 TENEX 운영 체제에서 서비스되었다.[9]

3. 주요 특징

NLS는 더글러스 엥겔바트가 추구했던 집단적 지식 작업 역량 강화를 목표로 설계되었으며, 단순한 사용 편의성을 넘어 훈련된 사용자가 다양한 상호 작용을 통해 시스템을 능숙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12] 이는 엥겔바트가 পরবর্তীতে 언급한 WYSIAYG (What You See Is All You Get) 패러다임[13]과는 달리, 풍부한 상호 작용을 중시하는 완전 대화형 패러다임을 따른 것이다.[14]

1968년 12월 9일, NLS는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폴 조인트 컴퓨터 컨퍼런스에서 모든 데모의 어머니(The Mother of All Demos)라는 이름으로 공개 시연되었다. 이 데모는 에임스 연구 센터에서 대여한 대형 프로젝터를 통해 NLS의 혁신적인 기능들을 선보였으며, 멘로 파크에 있는 ARC의 SDS 940 컴퓨터와 전용 회선으로 연결하여 진행되었다. 엥겔바트는 헤드셋을 착용하고 청중에게 시스템을 설명했고, 22피트 높이의 스크린에는 그의 손 움직임이 확대되어 마우스 사용법 등을 시연했으며, 멘로 파크의 팀원들도 원격으로 참여했다.[24]

NLS의 주요 기능 중 하나인 '저널(Journal)'은 1970년 데이비드 에반스(David Evans)가 박사 학위 논문의 일환으로 개발한 초기 하이퍼텍스트 기반 그룹웨어이다.[25] 이는 위키와 같이 공동 문서 작성 및 토론을 지원하며, ARC 구성원들은 이를 통해 아이디어를 교환하고 발전시켰다. 저널은 초기 네트워크 정보 센터의 문서 보관 및 전자 메일 아카이브에도 활용되었다.[26]

3. 1. 세계 최초로 선보인 기술

NLS에서 세계 최초로 선보인 기술



더글러스 엥겔바트는 "이러한 최초의 기능들 중 많은 부분이 직원의 혁신에서 비롯되었으며, 심지어 제가 이해하기 전에 설명해야 했습니다. [직원들은] 더 많은 인정을 받아야 합니다."[14]라고 말했다.

4. 쇠퇴와 계승

NLS와 ARC의 쇠퇴는 프로그램 숙달의 어려움 때문으로 지적된다. NLS는 학습 용이성을 고려하지 않고 설계되었으며, 다양한 프로그램 모드와 엄격한 계층 구조를 사용했다. 또한, 포인트 앤 클릭과 같은 직관적인 인터페이스가 없었고,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암호와 같은 코드를 기억해야 했다.[1] 키보드 대신 Chord Keyset을 사용할 경우 5비트 이진 코드를 외워야 했다.

1969년 SRI에 ARPANET이 연결되면서 분산 컴퓨터 네트워크 시대가 열렸고, 소수 인원을 위한 시분할 시스템은 시대에 뒤떨어지게 되었다. 시분할 시스템은 빠르게 개인용 미니컴퓨터(또는 개인용 컴퓨터)나 워크스테이션으로 대체되었다. NLS를 PDP-10 등 다른 하드웨어로 이식하는 작업은 성공했지만, SRI 외부로 확장하려는 시도는 없었다.[1]

엥겔바트의 "부트스트래핑" 방향에 불만을 느낀 많은 SRI 연구원들은 팔로알토 연구소로 옮겨가 마우스 개발을 이어갔다. 1977년 SRI는 NLS를 Tymshare사에 매각했고, NLS는 Augment로 이름이 바뀌었다. Tymshare사는 이후 1980년대 초에 맥도넬 더글러스에 인수되었다.[1][15] NDMA Inc.에서 판매한 HyPerform은 NLS/Augment의 후속 제품이다.

"완전 대화형" 패러다임의 일부는 다른 시스템에 계승되었다. 파이어폭스의 애드온인 Hyperwords가 그 예시이다.[12] Hyperwords는 엥겔바트의 웹 다큐멘터리 Invisible Revolution에서 영감을 받아 고안되었으며, 웹상의 링크가 없는 단어와도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Hyperwords는 단순한 계층형 메뉴를 통해 작동하며, 엥겔바트는 이 프로젝트의 자문위원을 맡았다.

2005년부터 2008년까지 컴퓨터 역사 박물관의 자원봉사팀이 NLS 복원을 시도했다.[16][17]

5. 영향

댄 브릭린은 최초의 스프레드시트 프로그램인 비지칼크를 만들었으며, 더글러스 엔젤바트의 oN-Line System 시연을 보고 영감을 얻었다.[18]

참조

[1] 서적 Proceedings of the ACM Conference on the history of personal workstations ACM 2011-04-20
[2] 서적 Computer-Aided Display Control https://archive.org/[...] Stanford Research Institute 2017-01-03
[3] 웹사이트 Douglas Engelbart http://www-sul.stanf[...] Stanford University 2011-04-19
[4] 웹사이트 Quarterly Technical Letter Report 1 http://sloan.stanfor[...] Stanford University 2011-04-19
[5] 웹사이트 Johns Frederick (Jeff) Rulifson http://www.sri.com/a[...] SRI International 2013-06-13
[6] 간행물 The Click Heard Round The World https://www.wired.co[...] 2011-04-19
[7] 웹사이트 Dr David Evans, Managing Director and CEO http://www.magnetica[...] 2006
[8] 웹사이트 engelbart's unfinished revolution: David A. Evans http://unrev.stanfor[...]
[9] 간행물 Network Journal Submission and Delivery https://tools.ietf.o[...] 2011-04-19
[10] 문서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Human Augmentation Techniques 1968-07
[11] 서적 Proceedings of the June 4-8, 1973, national computer conference and exposition on - AFIPS '73 2011-04-20
[12] 웹사이트 Invisible Revolution http://www.invisible[...] 2011-04-13
[13] 문서 What you see is ALL you get Interactions 1997
[14] 웹사이트 A Lifetime Pursuit http://www.dougengel[...] Englebart Institute 2011-04-13
[15] 뉴스 McDonnell to buy Tymshare https://www.nytimes.[...] 1984-02-28
[16] 웹사이트 NLS Augment Index http://www.softwarep[...] Computer History Museum 2011-04-15
[17] 웹사이트 NLS Restoration Technical Discussion Archives http://chm.cim3.net/[...] Computer History Museum 2011-04-15
[18] 서적 The innovators: how a group of hackers, geniuses and geeks created the digital revolution Simon & Schuster Paperbacks 2015
[19] 서적 思考のための道具 異端の天才たちはコンピュータに何を求めたか? パーソナルメディア株式会社 1988-08-10
[20] 간행물 The Augmented Knowledge Workshop http://www.dougengel[...] ACM 2011-04-20
[21] 웹사이트 Douglas Engelbart http://www-sul.stanf[...] スタンフォード大学 2011-04-19
[22] 웹사이트 Quarterly Technical Letter Report 1 http://sloan.stanfor[...] スタンフォード大学 2011-04-19
[23] 웹사이트 SRI Hall of fame http://www.sri.com/a[...] SRIインターナショナル 2011-04-15
[24] 뉴스 The Click Heard Round The World http://www.wired.com[...] 2011-04-19
[25] 문서 David A. Evans http://unrev.stanfor[...]
[26] 간행물 Network Journal Submission and Delivery 2011-04-19
[27] 문서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Human Augmentation Techniques 1968-07
[28] 간행물 The Augmented Knowledge Workshop http://www.dougengel[...] AFIPS 2011-04-20
[29] 웹사이트 Invisible Revolution http://www.invisible[...] 2011-04-13
[30] 문서 What you see is ALL you get Interactions 1997
[31] 웹사이트 A Lifetime Pursuit http://www.dougengel[...] Englebart Institute 2011-04-13
[32] 웹사이트 NLS Augment Index http://www.softwarep[...] コンピュータ歴史博物館 2011-04-15
[33] 웹사이트 NLS Restoration Technical Discussion Archives http://chm.cim3.net/[...] コンピュータ歴史博物館 2011-04-15
[34] 저널 The Augmented Knowledge Workshop http://www.dougengel[...] ACM 2011-04-20
[35] 서적 Computer-Aided Display Control https://archive.org/[...] Stanford Research Institute 2017-01-03
[36] 웹인용 Douglas Engelbart http://www-sul.stanf[...] 스탠퍼드 대학교 2011-04-19
[37] 웹인용 Quarterly Technical Letter Report 1 http://sloan.stanfor[...] 스탠퍼드 대학교 2011-04-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